저번에는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봤다. EC2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해 퍼블릭 IP를 사용하는데, 퍼블릭 IP의 경우 유동 IP이기 때문에 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재시작하게 되면 퍼블릭 IP가 변경되게 된다. 퍼블릭 IP가 변경이 되면, 백엔드 구현 단에서도 서버 접근을 위한 IP주소를 바꿔줘야 하고, 도메인 설정을 안했다면 프론트도 API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를 바꾸어주어야 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번거로워질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고정 IP인 탄력적 IP(Elastic IP == EIP)를 할당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EIP 사용 시 과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래 EIP 사용 시 요금 부과 사항도 알아보자.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 (EIP) 할당하기 1. 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