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EC2 인스턴스 접속하기 (MAC & Window)

Hyeonni 2022. 3. 15. 15:18

이전 포스트들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탄력적 IP(EIP) 설정까지 완료해주었다.

그럼 이제 그동안 설정해온 EC2에 접속해서 사용할 시간이다.

 

 

MAC에서 EC2 인스턴스 접속하기

 

접속할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연결 버튼을 누른다.

 

아래 보라색으로 칠해진 부분을 복사한다. 왼쪽의 아이콘을 누르면 복사된다.

터미널을 열어서 키 페어를 저장해둔 디렉터리로 이동한 다음, 붙여 넣기를 하면 인스턴스에 접속 완료!

 

  • SSH 프로토콜이란?
    • 인터넷과 같은 안전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할 때 운영 제체에 안전한 원격 연결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계층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Window에서 EC2 인스턴스 접속하기

 

윈도우의 경우, 맥과는 다르게 터미널에서 ssh 클라이언트가 지원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WinSCP나 Putty를 이용한다.

 

여기서는 WinSCP를 이용해 접속해 보도록 한다.

새로운 세션을 누르면 해당 창이 뜬다.

아래에 설명된 정보들을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파일 프로토콜 :  SFTP
호스트 이름 : EC2 인스턴스 IP
포트 번호 : 22 (보안 그룹에서 설정한 포트 번호 입력)
사용자 이름 : 리눅스 User 명 => 설정을 따로 안 했다면 Ubuntu AMI 명은 기본적으로 ubuntu
비밀번호 : 리눅스 User 비밀번호 => 설정 안했다면 입력 안 해도 됨

이전 포스트에서 EIP를 설정했으므로 호스트 이름에는 EIP를 입력하면 된다.

 

그다음 고급 버튼 클릭하고 SSH에 인증으로 들어간다.

개인키 파일을 눌러서 인스턴스 생성 시에 발급받았던 키 페어 파일을 넣어준다.

이때 확장자는 모든 파일로 해놓아야 저장해 두었던 키 파일이 보인다.

 

.pem 파일을 .ppk 파일로 변환시켜 저장하면 키가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잠깐!

OpenSSH는 모든 Unix 커널 운영 체제에 사전 설치된 무료 프로토콜이며 SSH 클라이언트와 SSH 서버로 구성된 유틸리티로 존재한다.

 

그리고 저장을 누르면 확인할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한 후에 로그인 해주면 접속이 완료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예'를 누르고 넘어가면 된다.

 

접속이 완료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왼쪽 화면은 내 컴퓨터이고 오른쪽 화면은 내가 원격 접속한 인스턴스이다.

 

빨간색을 표시한 원을 클릭하면 putty가 실행되어 아래와 같이 터미널이 뜬다.

Ubuntu의 터미널처럼 사용하면 된다!